일상 기록/생활 정보

보조 배터리 버리는 방법 쓰레기 분리수거

해안쓰 2022. 8. 26. 15:52

 

 

보조 배터리는 유용하다. 요즘 핸드폰들은 예전과 다르게 모두 배터리가 일체형으로 나오기 때문에 핸드폰을 많이 활용하는 사람들은 배터리가 모자를 수밖에 없다.

 

 

나도 보통 핸드폰으로 일을 보고, 모든 걸 대부분 하기 때문에 보조 배터리를 달고 살 수 밖에 없었다. 핸드폰을 구매하고 시간이 점차 지나면 배터리 닳는 속도가 빨라진다. 이건 대부분 공감할 거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보조 배터리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근데 잘 쓰던 보조 배터리가 고장이 나버렸다. 동생이 줬던 보조 배터리였는데 얼마 전부터 충전이 잘 안되기 시작했다. 원래는 몇시간 충전시키면 4칸 끝까지 금방 됐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3칸까지밖에 안되더라. 그것도 한동안은 2칸까지만 되다가 요새 그래도 3,4칸까지 됐었는데 어제 장렬히 전사했다.

 

 

내가 사용하던 보조 배터리. 10000mAh 제품으로 아이폰 12pro 기준 두번 정도 충전 가능했다.

 

 

망가진 보조 배터리 어떻게 버려야 할까. 찾아보니 보조 배터리는 건전지와 같은 방법으로 버려야 했다.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에 넣어야 한다.

 

 

보조 배터리는 보통 리튬이온 배터리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용량이 크고, 자연 방전이 적은 편이다. 그러나 충격 등 물리적 압력을 받거나 다른 물질과의 접촉으로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위험하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보조 배터리를 일반 쓰레기로 버려서 소각, 매립 된다면 내부의 중금속이 흘러나와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도 있겠다.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에 넣은 건전지와 보조 배터리는 어떻게 활용될까. 잘 분리배출한 보조 배터리는 니켈 등의 금속을 추출하여 재활용하게 된다고 한다. 재활용 가치도 높고, 재활용률도 매우 높은 자원이라고.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은 보통 주민센터나 구청,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아니면 동네에 설치되어 있기도 하는데, 우리 동네는 설치된 곳도 멀고 주민센터도 좀 멀어서 모아놨다가 나중에 버려야할 듯 싶었다. 아니면 외출할 때 가지고 나가서 들렀다 가야겠다.

 

 

보조 배터리를 분리수거 한다고 분리하면 위험하니 함부로 손대지 말도록 하자. 폭파가 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제품 그대로 버려야 한다.

 

 

이번 기회에 알아본 보조 배터리 버리는 방법. 모두 올바른 방법으로 분리수거 배출하길 바란다. 그럼 이만!

 

 

 

 

'일상 기록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모기 물렸을 때 증상, 대처 후기  (0) 2022.09.05